고대 예루살렘은 언제 멸망되었는가?—제1부
예루살렘이 멸망된 해가 중요한 이유; 증거들이 알려 주는 점
일부 독자들은 고대 예루살렘이 멸망된 연도에 관해 의문을 가져 왔습니다. 이번 호와 다음 호 「파수대」에서는 그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학술적인 질문들에 대해 논할 것입니다. 총 2부로 이루어진 이 연재 기사는 철저한 조사와 성경 연구를 통해 밝혀진 점들을 알려 줄 것입니다.
“역사학자들과 고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기원전 586년이나 587년에 예루살렘이 멸망되었다고 생각합니다.a 그런데 여호와의 증인은 왜 그 일이 기원전 607년에 일어났다고 말합니까? 그렇게 말하는 근거는 무엇입니까?”
본지의 한 독자가 위와 같은 질문을 했습니다. 그런데 바빌로니아의 왕 느부갓네살(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예루살렘을 멸망시킨 때가 실제로 언제인지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첫째로, 이 일이 하느님의 백성에게 역사적으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한 역사가는 이 사건으로 인해 이스라엘 백성이 “파국, 참으로 비극적인 결말”을 맞게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전능한 하느님을 숭배하는 일에서 400년이 넘게 중심지 역할을 했던 성전이 그때 사라져 버린 것입니다. 성서 시편의 필자는 이렇게 탄식했습니다. “하나님이여 이방 나라들이 ··· 주의 성전을 더럽히고 예루살렘이 돌무더기가 되게 하였나이다.”—시 79:1.b
둘째로, 이 “비극적인 결말”이 닥친 정확한 연도를 알고 예루살렘에 참숭배가 회복될 것이라는 성서의 구체적인 예언이 어떻게 성취되었는지를 이해하면, 하느님의 말씀이 참되다는 확신이 더욱 강해질 것입니다. 그러면 널리 받아들여지는 연도와 20년씩이나 차이가 나는 해에 예루살렘이 멸망되었다고 여호와의 증인이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간단히 말하자면, 성서 자체에 들어 있는 증거 때문입니다.
어느 쪽에 적용되는 “칠십 년”인가?
예루살렘이 멸망되기 여러 해 전에, 유대인 예언자 예레미야는 성서 연대를 계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의 모든 주민에게” 다음과 같이 경고했습니다. “이 모든 땅이 폐허가 되어 놀랄 일이 될 것이며 이 민족들은 칠십 년 동안 바벨론의 왕을 섬기리라.” (예레미야 25:1, 2, 11) 그리고 그는 나중에 이런 말도 했습니다.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바벨론에서 칠십 년이 차면 내가 너희를 돌보고 나의 선한 말을 너희에게 성취하여 너희를 이 곳으로 돌아오게 하리라.” (예레미야 29:10) 그러면 여기에 나온 “칠십 년”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이 기간은 예루살렘이 멸망된 때를 알아내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됩니까?
일부 성서 번역판에서는 “바벨론에서 칠십 년이 차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바벨론 제국은 앞으로도 70년 동안 존속할 것이다”라는 식으로 번역합니다. (현대어성경) 따라서 일부 역사가들은 예레미야가 언급한 70년이 바빌로니아 제국에 적용되는 기간이라고 주장합니다. 세속 역사 기록에 따르면, 바빌로니아는 기원전 609년경부터 수도인 바빌론이 함락된 때인 기원전 539년까지 고대의 유다 지역과 예루살렘을 70년가량 지배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성서는 70년이라는 기간이 유다와 예루살렘의 백성에게 적용되는 기간이라고 알려 줍니다. 하느님께 순종하기로 계약을 맺은 그 백성에게 하느님께서 엄벌을 내리신 것입니다. (출애굽 19:3-6) 그들이 시정을 받아들이지 않고 계속 악한 일을 일삼자, 하느님은 “바벨론의 왕 느부갓네살을 불러다가 이 땅과 그 주민과 사방 모든 나라를 쳐서 진멸”하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예레미야 25:4, 5, 8, 9) 주변 나라들도 바빌로니아의 공격을 받았지만, 예레미야는 예루살렘의 멸망과 70년간의 유배를 가리켜 예루살렘이 “크게 죄를 지었기” 때문에 “내 백성[이] 죄로 인한 처벌”을 받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예레미야애가 1:8; 3:42; 4:6, 우리말성경.
따라서 성서에 의하면, 70년이란 기간은 유다에 엄중한 처벌이 내려진 기간이며 하느님께서는 이 엄한 형벌을 내리기 위해 바빌로니아를 사용하셨습니다. 하지만 하느님은 유대인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칠십 년이 차면 ··· 너희를 이 곳으로[유다와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하리라.”—예레미야 29:10.
“칠십 년”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예레미야가 예언한 70년이 끝난 후에 살았던 에스라는 하느님의 영감을 받아 역사 기록을 남겼는데, 그는 느부갓네살 왕에 관해 이렇게 썼습니다. “[느부갓네살 왕이] 칼에서 피한 자들은 바빌론으로 끌고 갔더라. 그들이 거기서 그와 그의 아들들에게 종이 되었으니 페르시아 왕국의 치리 때까지 하였더라. 예레미야의 입을 통한 주의 말씀이 이루어져 땅이 안식하였으니 땅이 황폐한 동안 안식년을 지켜 칠십 년을 채웠더라.”—역대 하 36:20, 21, 한글 킹 제임스 성경.
따라서 70년은 유다와 예루살렘 땅이 “안식”하게 될 기간이었습니다. 이 말은 그 땅이 경작되지 않은 채로 있을 것이라는, 다시 말해 그곳에 씨를 뿌리거나 포도나무의 가지를 치는 일도 없을 것이라는 의미였습니다. (레위 25:1-5) 하느님의 백성이 그분께 불순종하고 안식년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죄도 지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처벌로 그 땅은 70년 동안 경작되지 않고 버려진 채로 있을 것이었습니다.—레위 26:27, 32-35, 42, 43.
그러면 유다 땅은 언제부터 경작되지 않고 황폐된 채로 있게 되었습니까? 사실, 느부갓네살 휘하의 바빌로니아 군대는 여러 해의 간격을 두고 예루살렘을 두 차례 공격했습니다. 70년이 시작된 때는 언제였습니까? 느부갓네살이 1차 포위 공격을 했을 때는 분명 아니었을 것입니다. 그때 예루살렘에서 많은 포로를 데리고 바빌론으로 돌아가기는 했지만, 그곳에 남겨 둔 사람들도 많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 도시 자체도 멸망되지 않은 채로 있었습니다. 1차 강제 이주가 있고 나서 여러 해 동안 “백성 중에 낮은 계층”의 사람들은 유다에 남아 농사를 지으며 살았습니다. (열왕 둘째 24:8-17, 신세계역) 그러나 상황이 급격하게 변하게 되었습니다.
유대인들이 반란을 일으키는 바람에 바빌로니아 군대가 다시 예루살렘으로 진격해 온 것입니다. (열왕 하 24:20; 25:8-10) 그리하여 그 도시와 거기에 있던 성전은 완전히 멸망되고 그 주민들 중 상당수가 바빌론에 포로로 끌려갔습니다. 약 두 달 뒤에는 “높은 사람 낮은 사람 할 것 없이 [그 땅에 남아 있는] 모든 백성들과 군대의 지휘관들이 바빌론 사람들을 두려워하여 이집트로 도망”했습니다. (열왕 하 25:25, 26, 공동번역) 바로 그때 즉 유대인 달력으로 일곱째 달인 티슈리월(9월과 10월에 걸쳐 있는 달)이 되어서야, 그 땅이 황폐되고 경작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안식의 쉼에 들어갔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집트로 도망한 유대인들에게 하느님께서는 예레미야를 통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가 예루살렘과 유다 모든 성읍에 내린 나의 모든 재난을 보았느니라 보라 오늘 그것들이 황무지가 되었고 사는 사람이 없나니.” (예레미야 44:1, 2) 그러므로 예루살렘에 사는 사람이 아무도 없게 되었을 때 70년이 시작되었다고 결론 내릴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해는 언제였습니까? 그 답을 알려면 70년이 끝난 시점이 언제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칠십 년”은 언제 끝났는가?
“페르시아 왕국의 치리”가 시작될 때 바빌론에 살고 있었던 예언자 다니엘은 70년이 끝날 때를 분별해 냈습니다.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나 다니엘이 책을 통해 여호와께서 말씀으로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알려 주신 그 연수를 깨달았나니 곧 예루살렘의 황폐함이 칠십 년만에 그치리라 하신 것이니라.”—다니엘 9:1, 2.
에스라는 예레미야의 예언을 숙고한 뒤 “칠십 년”이 끝난 때를 “주께서 페르시아의 코레스왕의 영을 감동시키시[어] ··· 포고령을 내”린 때와 연관 지었습니다. (역대 하 36:21, 22, 한글 킹 제임스 성경) 유대인들은 언제 풀려났습니까? 그들의 유배 기간을 끝나게 한 포고령은 “페르시아의 코레스왕 제일년”에 내려졌습니다. (“성서와 세속 역사 기록이 부합되는 연대” 네모 안의 내용 참조) 그리하여 기원전 537년 가을에는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에 돌아와 다시 참숭배를 드리게 되었습니다.—에스라 1:1-5; 2:1; 3:1-5, 한글 킹 제임스 성경.
그러므로 성서 연대에 따르면, 70년은 문자적인 기간으로서 기원전 537년에 끝났습니다. 그해로부터 70년을 거슬러 올라가면 그 기간이 시작된 해는 기원전 607년이 됩니다.
이처럼 영감받은 성경에 나오는 증거들이 예루살렘이 멸망된 때가 기원전 607년이라고 분명히 알려 주는데도, 많은 권위자들이 기원전 587년에 그 일이 일어났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들은 두 가지 자료, 즉 고대 역사가들의 기록과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를 증거로 듭니다. 그러면 그 자료들이 과연 성경의 내용보다 더 신빙성이 있습니까? 이제 그 점을 살펴보겠습니다.
고대 역사가들—얼마나 정확한가?
예루살렘이 멸망되었을 무렵에 살았던 역사가들은 신바빌로니아 왕조의 왕들에 대해 서로 다른 증언을 하고 있습니다.c (“신바빌로니아의 왕들” 네모 안의 내용 참조) 그 역사가들의 기록에 근거한 연대기는 성서의 내용과 상충됩니다. 그러면 그들의 기록은 얼마나 신빙성이 있습니까?
신바빌로니아 왕조 시대와 가장 가까운 시대에 살았던 역사가 중 한 명인 베로수스는 바빌론 사람으로 “벨의 사제”였습니다. 그가 남긴 저술물인 「바빌로니아카」는 기원전 281년경에 쓰여졌는데, 원문은 소실되었으며 그 내용 가운데 일부를 다른 역사가들의 저술물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베로수스는 자신이 “바빌론에 고이 보관된 자료들”을 참조했다고 주장했습니다.1 그러면 베로수스의 역사 기록은 과연 정확합니까? 한 가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베로수스는 아시리아 왕 센나케리브(산헤립)가 “[자기] 형의 왕위”를 계승했으며, “그 뒤를 이은 그의 아들[에사르하돈(에살핫돈)]은 8년 동안, 그 뒤를 이은 삼무게스[샤마시슈마우킨]는 21년 동안” 통치했다고 기술했습니다. (3권, 2.1, 4) 하지만 베로수스 시대보다 훨씬 이전에 기록된 바빌로니아 역사 기록들에 의하면, 센나케리브는 자기 형이 아니라 아버지인 사르곤 2세의 뒤를 이어 왕좌에 올랐고, 에사르하돈은 8년이 아니라 12년 동안, 샤마시슈마우킨은 21년이 아니라 20년 동안 왕으로 다스렸습니다. R. J. 반 데르 스펙이라는 학자는 베로수스가 바빌로니아의 연대기들을 참고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그가 자기 나름대로 내용을 추가하거나 해석을 덧붙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썼습니다.2
베로수스에 대한 다른 학자들의 견해는 어떠합니까? 그의 저술물을 철저히 연구한 S. M. 버스타인은 “과거에는 일반적으로 베로수스를 역사가로 여겼었다”고 말하면서 이런 결론을 내렸습니다. “역사가라고 하기에 그의 기록은 매우 수준이 떨어진다. 현재 남아 있는 「바빌로니아카」의 일부분만 보아도 단순한 사실에서 어이없는 오류들이 꽤 많이 발견된다. ··· 그런 오류를 범한다는 것이 역사가에게는 치명적인 일이지만, 사실 그는 역사가로서의 사명을 띠고 그 기록을 했던 것은 아니었다.”3
이러한 사실들을 고려해 볼 때, 당신은 어떻게 생각합니까? 베로수스의 계산이 시종일관 정확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까? 그렇다면 연대기를 저술할 때 베로수스의 기록에 크게 의존한 다른 고대 역사가들의 기록은 어떠합니까? 그들이 남긴 역사 기록을 정말 신뢰할 수 있겠습니까?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
기원 2세기의 천문학자인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왕실 명부 역시 역사가들이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기원전 587년의 연도를 지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왕들의 목록을 기록한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는 신바빌로니아 왕조 시대를 비롯한 고대 역사의 연대기를 편찬하는 데 뼈대와도 같은 역할을 했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신바빌로니아 왕조 시대가 끝나고 약 600년이 지난 후에 이 명부를 작성했습니다. 그러면 명부에 나온 첫 번째 왕이 통치를 시작한 때는 어떻게 알아냈습니까? 프톨레마이오스는 월식과 같은 천체 현상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서 첫 번째 왕인 “나보나사르 왕이 통치를 시작한 때를 알아냈다”고 설명했습니다.4 따라서 대영 박물관의 크리스토퍼 워커는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가 “천문학자들에게 통일된 연대기를 제공하려고 고안해 낸 도표”이지 “역사가들에게 왕들이 즉위하고 사망한 정확한 시기를 알려 주기 위해 쓴 기록은 아니”라고 말합니다.5
프톨레마이오스의 기록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레오 드푸이트조차 “그 명부가 오랜 세월 동안 천문학적으로 신빙성이 있다고 알려져 왔지만, 그렇다고 해서 역사적으로도 신빙성이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썼습니다. 드푸이트 교수는 또한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신바빌로니아 왕조의 왕들을 포함한] 초기 통치자들의 통치 기간을 정확히 알아내려면 이 명부를 설형 문자 기록과 대조해 볼 필요가 있다.”6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가 역사적으로 정확한지 확인하기 위해 대조해 볼 수 있는 “설형 문자 기록”은 무엇입니까? 바빌로니아 연대기, 왕들의 목록, 상업 활동 내역이 적힌 점토판과 같이, 신바빌로니아 시대에 살았거나 그때와 가까운 시대에 살았던 서기관들이 남긴 설형 문자 기록입니다.7
프톨레마이오스의 기록은 설형 문자 기록과 내용이 일치합니까? 아래에 있는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는 고대 점토판의 기록과 얼마나 일치하는가?” 네모에서는 명부의 일부분을 고대 설형 문자 기록과 비교해서 보여 줍니다. 거기에 나온 것처럼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에는 바빌로니아의 통치자인 칸달라누의 통치 기간과 나보니두스의 통치 기간 사이에 단지 네 명의 왕이 집권했던 것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우루크 왕 목록이라는 설형 문자 기록을 보면 그 기간에 일곱 명의 왕이 통치했던 것으로 나옵니다. 몇몇 왕들은 통치 기간이 짧아서 생략한 것입니까? 당시의 상업 활동 내역이 적힌 설형 문자 점토판에 의하면, 그 가운데 한 왕은 7년 동안이나 통치했습니다.8
또한 설형 문자 기록들에서 분명히 알려 주는 바에 의하면, 나보폴라사르(신바빌로니아 왕조의 첫 번째 왕)가 통치하기 이전에 다른 왕(아슈르에텔일라니)이 4년 동안 바빌로니아를 통치했습니다. 그리고 바빌로니아에 1년이 넘게 왕이 없었던 적도 있었습니다.9 하지만 이 모든 점들이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일부 통치자들을 생략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들이 바빌로니아를 실제로 통치한 자들이 아니라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10 예를 들어, 그는 신바빌로니아 왕조의 왕인 라바시마르두크를 생략했습니다. 하지만 설형 문자 기록들에 의하면, 프톨레마이오스가 생략한 왕들은 실제로 바빌로니아를 통치했던 왕이었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는 대체로 정확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이 명부에 나오는 생략된 부분들을 볼 때, 그 명부를 토대로 한 역사 연대기가 정확하다고 장담할 수 있겠습니까?
증거들에 비추어 볼 때
이상의 증거들을 요약하여 결론을 내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성서는 유배 기간이 70년이었다고 분명히 말합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이 인정하는 확실한 증거에 따르면 유대인 유배자들은 기원전 537년에 고국으로 돌아와 있었습니다. 이때부터 70년을 거슬러 올라가면 예루살렘이 멸망된 해는 기원전 607년이 됩니다. 고대 역사가들의 기록과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는 다른 연도를 지적하지만, 그 기록들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정당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두 가지 기록은 성서의 연대기가 틀렸음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될 수 없습니다.
이제 생각해 보아야 할 또 다른 질문이 있습니다. 성서의 증언에 근거하여 계산한 기원전 607년의 연도를 지지하는 역사적 증거가 정말 하나도 없습니까? 연대 측정이 가능한 설형 문자 기록 가운데는 고대의 목격 증인들이 쓴 것도 많은데, 거기에 나오는 증거들은 무엇을 밝혀 줍니까? 다음 호에 실릴 제2부에서 그 점을 다룰 것입니다.
[각주]
a 세속 자료를 보면 두 연도가 모두 등장한다. 이 연재 기사에서는 편의상 기원전 587년만 언급할 것이다.
b 여호와의 증인이 발행하는 「신세계역 성경」은 충실하게 번역된 신뢰할 만한 번역판이다. 하지만 여호와의 증인이 아닌 일부 독자들은 성서와 관련된 주제를 고려할 때 다른 번역판을 사용하기를 더 좋아한다. 따라서 이 기사에서는 주로 「성경전서 개역개정판」을 사용할 것이며 널리 사용되는 그 밖의 성서 번역판들도 인용할 것이다.
c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시대는 느부갓네살의 아버지인 나보폴라사르의 통치로 시작되었고 나보니두스의 통치로 막을 내렸다. 70년의 황폐 기간이 대부분 이 시대와 겹치기 때문에 학자들은 이 시기에 특히 관심을 갖고 있다.
[28면 네모와 삽화]
성서와 세속 역사 기록이 부합되는 연대
키루스 2세가 바빌론을 정복한 해가 기원전 539년임을 계산해 내는 데 사용된 기록들
▪ 고대 역사 자료와 설형 문자 기록들: 시칠리아의 디오도로스(기원전 80-20년경)는 키루스가 “55번째 올림피아드의 첫 번째 해”에 페르시아 왕이 되었다고 기록했습니다. (「역사 도서관」[Historical Library] 9권 21장) 그해는 기원전 560년에 해당합니다.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기원전 485-425년경)는 키루스가 “29년간 통치한 후” 살해되었다고 기록했습니다. 따라서 그가 사망한 때는 그의 통치 제30년, 즉 기원전 530년이 됩니다. (「역사」[Histories] 1권 클리오 214장) 설형 문자 점토판에 의하면 그는 사망하기 전 9년간 바빌로니아를 통치했습니다. 따라서 그가 사망한 해인 기원전 530년에서 9년을 거슬러 올라가면 키루스가 바빌론을 정복한 해인 기원전 539년이 됩니다.
그 점을 확증해 주는 설형 문자 점토판: 천문학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바빌로니아의 한 점토판(BM 33066)은 키루스가 기원전 530년에 사망했음을 확증해 줍니다. 이 점토판은 천체의 위치에 관해 얼마의 부정확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두 번의 월식에 관해 언급하면서 그 월식이 모두 키루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캄비세스 2세의 통치 제7년에 있었다고 알려 줍니다. 이 두 차례의 월식은 바빌론에서 기원전 523년 7월 16일과 기원전 522년 1월 10일에 볼 수 있었으므로 캄비세스의 통치 제7년이 기원전 523년 봄에 시작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의 통치 제1년은 기원전 529년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 전 해인 기원전 530년은 키루스의 마지막 해였을 것이며 그가 바빌론을 통치하기 시작한 해는 기원전 539년이 됩니다.
[자료 제공]
점토판: ©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31면 네모]
요약하자면 ···
▪ 세속 역사가들은 일반적으로 예루살렘이 기원전 587년에 멸망되었다고 주장합니다.
▪ 성서 연대기는 예루살렘이 기원전 607년에 멸망되었음을 분명히 알려 줍니다.
▪ 세속 역사가들이 내린 결론은 주로 고대 역사가들의 저술물과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에 근거한 것입니다.
▪ 고대 역사가들의 기록에서는 점토판 기록과 일치하지 않은 내용들과 심각한 오류들이 발견되었습니다.
[31면 네모]
참고 문헌 및 부가 설명
1. 「바빌로니아카」(Chaldaeorum Historiae) 1권 1.1.
2. 「고대 근동 지역의 모습과 사회 연구」(Studies in Ancient Near Eastern World View and Society) 295면.
3. 「베로수스의 바빌로니아카」(The Babyloniaca of Berossus) 8면.
4.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Ptolemy’s Almagest) 1998년판 166면, 「알마게스트」 3권 7장, G. J. 투머 번역. 같은 형태의 월식이 18년마다 반복된다는 것을 깨달은 바빌로니아의 천문학자들이 수학적인 방법을 통해 과거와 미래의 월식을 “계산”해 냈다는 점을 프톨레마이오스는 알고 있었다.—「알마게스트」 4권 2장.
5. 「페르시아 시대의 메소포타미아와 이란」(Mesopotamia and Iran in the Persian Period) 17-18면.
6. 「설형 문자 연구 저널」(Journal of Cuneiform Studies) 47권 1995년판 106-107면.
7. 설형 문자란 끝 부분이 쐐기 모양을 하고 있는 예리한 첨필을 사용해서 부드러운 점토판에 다양한 글자를 새긴 것을 가리킨다.
8. 그 왕은 신샤라이시쿤이며 7년 동안 통치했다. 그의 상업 활동 내역이 적힌 점토판 57점이 발견되었는데, 모두 그의 즉위년과 통치 제7년 사이에 기록된 것이었다. 「설형 문자 연구 저널」 35권 1983년판 54-59면 참조.
9. 상업 활동 내역이 적힌 점토판 C.B.M. 2152는 아슈르에텔일라니 통치 제4년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리아, 신바빌로니아, 페르시아 시대의 법적·상업적 문서—주로 니푸르에서 발견된 것들」[Legal and Commercial Transactions Dated in the Assyrian, Neo-Babylonian and Persian Periods—Chiefly From Nippur] A. T. 클레이 저, 1908년판 74면) 또한 나보니두스의 하란 비문(H1B)의 첫째 단 30번째 줄에도 나보폴라사르의 바로 전 통치자로 아슈르에텔일라니가 나온다. (「아나톨리아 연구」[Anatolian Studies] 8권 1958년판 35, 47면) 왕이 없었던 시기에 대해서는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 연대기」(Assyrian and Babylonian Chronicles) 87-88면, 2번 점토판 14번째 줄 참조.
10. 일부 학자들은 프톨레마이오스가 바빌로니아의 왕들만 목록에 포함시켰으므로 “아시리아의 왕”이라는 칭호로 불린 몇몇 왕들을 목록에서 제외시켰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30면의 네모를 보면 “아시리아의 왕”이라고 불린 왕들도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업 활동 내역이 적힌 점토판, 설형 문자 서신, 비문을 보면 아슈르에텔일라니, 신슈무리시르, 신샤라이시쿤이 바빌로니아를 통치한 왕이었음을 확실히 알 수 있다.
[29면 도표와 삽화]
(온전한 형태의 본문을 보기 원한다면, 출판물을 참조하십시오)
신바빌로니아의 왕들
이 역사가들의 기록이 신뢰할 만하다면 서로 상충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이름
나보폴라사르
베로수스 기원전 350년경–270년 (21)
폴리히스토르 기원전 105년–?년 (20)
요세푸스 기원 37년–?100년 (—)
프톨레마이오스 기원 100년경–170년 (21)
네부카드네자르 2세
베로수스 기원전 350년경–270년 (43)
폴리히스토르 기원전 105년–?년 (43)
요세푸스 기원 37년–?100년 (43)
프톨레마이오스 기원 100년경–170년 (43)
아멜마르두크
베로수스 기원전 350년경–270년 (2)
폴리히스토르 기원전 105년–?년 (12)
요세푸스 기원 37년–?100년 (18)
프톨레마이오스 기원 100년경–170년 (2)
네리글리사르
베로수스 기원전 350년경–270년 (4)
폴리히스토르 기원전 105년–?년 (4)
요세푸스 기원 37년–?100년 (40)
프톨레마이오스 기원 100년경–170년 (4)
라바시마르두크
베로수스 기원전 350년경–270년 (9개월)
폴리히스토르 기원전 105년–?년 (—)
요세푸스 기원 37년–?100년 (9개월)
프톨레마이오스 기원 100년경–170년 (—)
나보니두스
베로수스 기원전 350년경–270년 (17)
폴리히스토르 기원전 105년–?년 (17)
요세푸스 기원 37년–?100년 (17)
프톨레마이오스 기원 100년경–170년 (17)
(#) = 고대 역사가들의 기록에 따른 왕들의 통치 연수
[자료 제공]
Photograph taken by courtesy of the British Museum
[30면 도표와 삽화]
(온전한 형태의 본문을 보기 원한다면, 출판물을 참조하십시오)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는 고대 점토판의 기록과 얼마나 일치하는가?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에는 몇몇 왕들이 빠져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입니까?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
나보나사르
나부나딘제리(나디누)
무킨제리와 풀
울룰라유(샬마네세르 5세) “아시리아의 왕”
므로닥발라단
사르곤 2세 “아시리아의 왕”
왕이 없었던 첫 번째 시기
벨입니
아슈르나딘슈미
네르갈우셰집
무셰집마르두크
왕이 없었던 두 번째 시기
에사르하돈 “아시리아의 왕”
샤마시슈마우킨
칸달라누
나보폴라사르
네부카드네자르
아멜마르두크
네리글리사르
나보니두스
키루스
캄비세스
고대 점토판에서 발견한 우루크 왕 목록
칸달라누
신슈무리시르
신샤라이시쿤
나보폴라사르
네부카드네자르
아멜마르두크
네리글리사르
라바시마르두크
나보니두스
[삽화]
프톨레마이오스의 명부가 정확한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설형 문자 기록 가운데는 바빌로니아 연대기가 있습니다
[자료 제공]
Photograph taken by courtesy of the British Museum
[31면 사진 자료 제공]
Photograph taken by courtesy of the British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