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워치타워
온라인 라이브러리
한국어
  • 성경
  • 출판물
  • 집회
  • 깨88 8/1 15-18면
  • 메스키트—감미로우면서도 신비에 싸인 생애

관련 동영상이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을 불러오지 못했습니다.

  • 메스키트—감미로우면서도 신비에 싸인 생애
  • 깨어라!—1988
  • 소제목
  • 비슷한 자료
  • 감미로움의 출처
  • 독자로부터
    깨어라!—1989
  • 꿀—벌이 사람에게 주는 선물
    깨어라!—2005
  • 꿀, 벌집
    성경 통찰, 제1권
  • 양봉—“달콤한” 이야기
    깨어라!—1997
더 보기
깨어라!—1988
깨88 8/1 15-18면

메스키트—감미로우면서도 신비에 싸인 생애

생애 초기는 신비에 싸여 있지만, 자라서는 감미로움을 준다

“메스키트는 이곳에서 뿌리가 지하 수면에 도달할 수 있는 유일한 관목이다. 그러나 메스키트 묘목의 뿌리가 이 물에 도달하려면 마른 모래 속으로 9미터 혹은 그 이상 깊이 뿌리를 내리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면, 어떻게 이 일이 이루어지는가? 이것은 사막의 풀리지 않는 신비 중 하나다.” 이와 같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지의 내용은 캘리포니아의 죽음의 계곡에 있는 메스키트에 관하여 언급한 것이다.

메스키트의 씨 자체가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한다. 그 씨들은 단순히 흙에 뿌려졌을 때에는 좀처럼 자라지 않는다. 그러나 씨가 담긴 깍지를 동물이 먹게 되면, 소화관을 통과하는 모든 씨들은 쉽게 발아한다. 소화액이 단단한 씨 껍질을 부식하여 수분이 스며들 수 있게 해주므로 발아가 시작되는 것이다. 동물이 배설하게 되면, 씨는 묘목의 초기 성장에 도움이 되는 비료를 보유하게 된다. 또한, 그 성장은 주근(主根)에 집중되며, 주근이 9미터 이상 깊이의 지하수를 찾기 전에는 지상에서 거의 성장하지 않는다.

다른 사막에서는 지역적인 비가 도움이 될 수도 있으나, 죽음의 계곡에서는 일년 내내 뿌려지는 강우량이 고작 3.43센티미터밖에 안 되기에 거의 없는 거나 다름없을 것이다. 주근이 마른 모래 속으로 9미터 이상 뻗어갈 동안 묘목이 어떻게 생존하는지는 풀리지 않는 신비다. 다른 사막에서도 그 묘기는 놀라운데, 특히 희한한 것은 어떤 메스키트 뿌리는 물을 찾아 무려 60미터나 뻗어 내려간다는 사실이다! 애리조나 주의 투손에 있는 소노라 사막 박물관에서는 지하 53미터 깊이에서 메스키트 뿌리가 발견된 광산에 관해 알려 준다.

하지만 뿌리가 일단 물과 마주치기만 하면, 그 식물의 지상에 있는 부분은 솟아오른다! 지하에서의 공급이 풍족한 곳에서는, 메스키트 나무가 높이 12미터 이상 직경이 0.9 내지 1.2미터까지 자랄 수 있다. 사막의 가뭄 기간 동안 다른 사막의 식물들은 시들어 죽을지 모르지만, 메스키트만큼은 푸르름을 유지한다. 메스키트의 깊은 뿌리는 먼 산에 내린 비와 눈에 의해 흘러든 지하수를 빨아올린다. 메스키트는 기부에서 뻗어 나간 표면 뿌리망도 가지고 있으며 이 뿌리들은 지나가는 소나기로부터도 수분을 흡수한다. 하지만 지하 저수지의 위치를 아주 능률적으로 찾아내는 것은 깊이 시추 작업을 하는 주근인데, 우물 파는 사람들이 그 근처에 우물을 팔 정도이다.

소노라 사막 박물관의 「안내원 비망록」(Docent Note Book)에서는 메스키트의 유용성에 관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해 준다.

“한때 이 나무는 사막에서의 목재로서 대단한 가치가 있었다. 아직도 울타리 말뚝이나 숯 혹은 땔감으로 사용된다. (이 나무는 서서히 타며 화력이 세고 탈 때 향기가 좋다.) 때때로 이 나무의 뿌리 부분으로 바이올린 활을 만든다. 나무의 속껍질을 가지고 인디언과 이주민들은 바구니, 올이 성긴 직물, 갖가지 질환의 치료약을 만들었다. 줄기에서 스며 나오는 수지는 모아져서 사탕 (검드롭스) 제조 원료로 판매된다. [수지는] 고무풀(도자기 수리용)[도 제공한다.]”

“메스키트는 이주민과 인디언들에게 주요 자원이었다. 농작물이 안 되었을 때는 그들 모두가 메스키트 깍지와 씨로 만든 굵은 가루 음식 (피놀리)으로 연명하였다. 아파치 족과 교전시에, 미국 기병대는 깍지가 말의 사료로서 대단히 가치있다고 생각하여 메스키트 콩을 1파운드 (약 450그램)당 3센트 (약 20원)씩에 사기도 했다. 그 깍지는 영양가가 높으며, 포도당 (덱스트로오스, 글루코오스 및 단당류)을 20 내지 30퍼센트 함유하고 있다. 단백질 함량도 매우 높다. (콩보다 더 높다.)”

감미로움의 출처

하지만 메스키트 관목 혹은 나무의 또 다른 용도가 있다. 봄부터 초여름까지, 기다랗고 통통한 노란 꽃들이 마치 보풀보풀한 커다란 쐐기벌레같이 나무에 달린다. 바로 이 꽃들이 메스키트 나무의 생애의 신비로움에 감미로움을 더해 주는 출처인 것이다.

랠프 루스비는 3대째 가업을 이어받은 양봉가로서, 메스키트가 번성하는 애리조나 사막에서 꿀벌을 사양하고 있다. 본지 통신원이 그와 회견을 가졌을 때 그는 메스키트의 감미로움에 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나는 마른 강바닥 근처에서 풍부한 물을 확보하여 한 철에 세번씩 만발하는 메스키트 나무들을 보아 왔읍니다. 메스키트의 꿀이 많을 때는, 내 벌들이 85 내지 90퍼센트의 메스키트 꿀을 주는데, 10 내지 15퍼센트는 캐츠클로 꿀이 섞입니다. 여태까지 살아오는 동안 많은 꿀을 맛보았지만, 아직까지 메스키트만한 꿀이 없었읍니다. 꿀 중에서 가장 맛이 순합니다. 꿀 특유의 강한 뒷맛이 없기 때문에, 아주 좋은 감미료가 됩니다. 꿀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대개 메스키트 꿀은 좋아하지요. 하지만 맛이 순하기 때문에, 더 강한 꿀과 섞이면 그 맛을 잃게 됩니다. 한 해에는, 아버지와 함께 감귤류 꿀 4리터를 메스키트 꿀 40리터에 섞었는데, 그만 전부가 감귤류 꿀맛이 되고 말았읍니다!

“내가 메스키트 꿀을 얻는 주요 시기는 대개 4월 20일부터 6월 10일까지입니다. 벌통 하나 (약 60,000마리의 벌)에서 얻는 꿀의 양이 전국적으로 한 해 평균 19 내지 19.5킬로그램이었을 때, 나는 벌통 하나당 53킬로그램씩을 얻었던 일이 기억납니다. 어떤 양봉가들은 아주 인색하게도 자기 벌들이 겨울에 먹을 충분한 꿀을 남겨 주지 않지요. 나는 벌통마다 27킬로그램의 꿀을 남겨 줍니다. 벌들에게는 물도 필요합니다. 사막의 어떤 곳에는, 벌들이 마시고 벌통을 식히는 데 사용하도록 210리터짜리 드럼통의 물을 여러 통 갖다 놓습니다. 760미터의 고도에 놓여 있는 40개의 벌통의 경우라면, 여름철 하루 동안 23 내지 26리터의 물을 사용할 것입니다. 나는 벌들을 사랑해요. 벌들은 나를 부양하고 나는 벌들을 부양합니다!”

그렇지만 그 양쪽을 다 부양해 주는 것은 사실 감미로움을 지닌 메스키트인 것이다. 메스키트는 또한 인간의 정신 속에 깊이 생각해 볼 신비를 던져 주며, 그 창조주를 인식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감사함을 불어넣어 준다.

[18면 네모와 삽화]

메스키트 나무가 독특하게 살아 남는 데는 알려져 있지 않고 밝혀지지 않은 여러 가지 비결이 있음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이제 꿀을 생산하는 이 계절도 다 지나가고, 메스키트는 다시 한번 사막의 생태 환경에 필수적인 그 역할을 수행하였다. 멀지 않아 큰 비가 쏟아질 것이다. 그후 이 사막의 나무는 잠들었다가 이듬해 봄에 살아나, 인간과 짐승에게 즐거움을 주는 훌륭한 꿀을 생산하는 고마운 벌들을 돕게 될 것이다.

[17면 삽화]

양봉가가 여왕벌을 가리키고 있다

메스키트에 앉아 있는 벌의 근접 사진

    한국어 워치 타워 출판물 (1960-2025)
    로그아웃
    로그인
    • 한국어
    • 공유
    • 설정
    • Copyright © 2025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 이용 약관
    • 개인 정보 보호 정책
    • 개인 정보 설정
    • JW.ORG
    • 로그인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