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회의
(또한 참조 바티칸 공의회 [제2차])
니케아 신경이 만들어진 경위: 깨 13/8 12-13; 찾 276-277; 삼 7-8; 깨89 7/15 21
사도행전 15장과 다름: 파12 1/15 6-7
성경 번역에 관한 영국 옥스퍼드 종교 회의 (1407년 또는 1408년): 하 29; 파87 7/15 21-22
얌니아 공의회 (유대교, 기원 90년경):
경외서(외경): 통-1 125
연도 목록
252년경, 카르타고 공의회:
314년, 아를 공의회 (프랑스):
주의 만찬을 일요일에: 파94 3/15 5
325년, 니케아 공의회: 깨 13/8 13; 찾 276-277
거세한 남자를 사제직에서 제외: 깨96 2/8 12
교황 실베스터 1세 불참: 찾 276
니케아 신경 (원문): 파92 8/1 19-20
니케아 신경과 성경에 나오는 내용의 차이점: 깨 13/8 13
삼위일체를 공식화한 회의가 아님: 파92 8/1 19-21; 삼 7-8
예수와 아버지의 관계: 깨 13/8 12-13; 파91 11/1 20; 삼 7-8; 깨89 7/1 27
유세비우스 (카이사레아): 파03 7/15 29, 31
주의 만찬을 일요일에: 파94 3/15 5-6
콘스탄티누스: 파12 1/15 6; 파98 3/15 28; 파92 8/1 19; 찾 276; 삼 8
341년, 안티오크 공의회:
콰르토데키만(십사 일 교도)을 파문: 파94 3/15 6
367년, 라오디게아 공의회:
성찬식에 악기를 사용하거나 회중이 참여하는 것을 금지: 파97 2/1 26
381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니케아 신경 (현대): 깨 13/8 13; 파92 8/1 21
삼위일체가 처음 제안됨: 삼 8
성령을 숭배 대상으로: 파91 11/1 20
성령을 신적 인격체라고 정의함: 웹성대 기사 81
성령을 “주”와 “생명의 수여자”로 칭함: 파92 8/1 21
382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성령의 신격 (신성): 파91 11/1 20
397년, 카르타고 공의회:
성경 정경(정전): 감 302
417년/418년, 카르타고 공의회:
유아 세례: 파86 5/1 6
431년, 에페수스 공의회: 파89 5/1 21
마리아는 “하느님의 어머니”: 웹성대 기사 136; 파09 11/1 8; 파04 12/15 28; 추 98, 101; 파91 7/1 6; 파89 5/1 21
451년, 칼케돈 공의회: 찾 279-280
예수 그리스도를 하느님의 화신으로 규정: 깨89 7/1 27
1095년, 클레르몽 공의회:
제1차 십자군 원정: 깨89 8/15 22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
마귀와 악귀들에 관한 발표: 파02 10/15 5
1229년, 툴루즈 공의회:
성경 소지 금지령: 찾 281
통용어로 된 성경 소지 금지: 파13 2/15 5; 파92 6/15 9
1414-1418년, 콘스탄츠 공의회:
대립 교황 시대 종료: 깨89 8/15 25
요하네스 후스를 정죄: 파97 9/15 26; 찾 312
위클리프의 유골을 모독: 파97 9/15 26; 찾 312
1439년, 피렌체(플로렌스) 공의회:
연옥: 파89 10/1 6
1545-1563년, 트리엔트(트렌트) 공의회:
경외서(외경): 통-1 124-125; 감 301; 깨89 4/1 12
대속(물): 파91 2/15 6
라틴어 「불가타」(「불가타역」)를 채택: 파09 4/1 21; 파05 12/15 15; 파99 1/1 26
성인(성자): 파02 9/15 3
유아 세례: 파86 5/1 6
통용어로 된 성경 소지 금지: 깨 11/12 7; 파92 6/15 10
형상 숭배: 파88 8/1 5
1870년, 제1차 바티칸 공의회:
교황의 무류성: 깨90 7/1 5; 깨89 2/15 3-4, 6
1962-1965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깨91 3/1 7-10
교회 일치 운동에 관한 교령: 깨91 3/1 6-8
마리아 숭배: 추 99-100
목표: 깨87 6/15 23-24
분열 초래: 깨93 9/15 5-6; 깨90 7/1 3-9; 깨88 1/1 6-11
사도 계승: 깨91 3/1 7-9
성경에 대한 태도: 파05 12/15 16; 깨90 7/1 8; 깨86 8/15 3, 5-6
실망: 깨86 9/15 10-11
유아 세례: 파86 5/1 5-6
전통 옹호: 파88 12/1 4
전통주의 운동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대응: 깨90 7/1 6-7
타 종교에 대한 태도: 깨93 9/15 5
하나의 참교회: 파93 7/1 17; 깨91 3/1 6-10